맨위로가기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국가들의 예선 과정을 다룬다. 예선은 4차 예선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진행되었으며, 2006년 FIFA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다. 호주,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이란이 3차 예선에 직행했으며, 최종 예선에서 각 조 1, 2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최종적으로 호주,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남은 0.5장의 출전권을 놓고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바레인이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월드컵 본선 진출 아시아 국가를 가리는 예선전의 세 번째 단계이다.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쟁하여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5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CONCACAF 소속 35개국이 참가하여 4단계 예선을 거쳐 미국, 멕시코, 온두라스가 본선에 진출하고, 코스타리카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요약
대회 명칭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연도2010년
기간2007년 10월 8일 – 2009년 11월 14일
참가 팀 수43개국
경기 수143
총 득점374골
총 관중1,243,587명
최다 득점자사라윳 차이캄디 (8골)
막심 샤츠키흐 (8골)
이전 대회2006년
다음 대회2014년

2. 예선 방식

예선은 4개의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된다. 예선 팀 배정은 최근 월드컵 이후의 성적을 기준으로 결정된다.[21] 상위 5개 팀은 3차 예선부터 참가하며, 6위 이하 38개 팀은 1차 예선부터 본선 출전을 목표로 한다.


  • 1차 예선
  • : 참가하는 38개 팀을 성적 상위 팀을 포트 A, 성적 하위 팀을 포트 B로 분류하지만, 조 편성은 무작위로 결정된다. 각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며, 승리한 19개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 승리한 19개 팀 중, 랭킹 하위 8개 팀은 2차 예선으로 진출하고, 랭킹 상위 11개 팀은 3차 예선으로 진출한다.

  • 2차 예선
  • : 1차 예선 승리 팀 중 랭킹 하위 8개 팀이 랭킹에 따라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한다.
  • : 승리한 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한다.

  • 3차 예선
  • : 시드 배정된 랭킹 상위 5개 팀, 1차 예선 승리 팀 중 랭킹 상위 11개 팀, 2차 예선 승리 4개 팀을 합한 총 20개 팀이 4팀씩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전(각 팀 6경기)을 치른다.
  • :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 최종 예선
  • : 3차 예선에서 승리한 10개 팀이 5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전(각 팀 8경기)을 치른다.
  • : 각 조 상위 2개 팀, 총 4개 팀이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 : 각 조 3위 팀은 AFC 플레이오프로 진출한다.

  • AFC 플레이오프
  • : 4차 예선 각 조 3위 2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AFC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 승리한 팀은 오세아니아 예선 1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대륙간 플레이오프
  • : AFC 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 승리 팀이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006년 FIFA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시드 배정이 이루어졌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던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이란 5개 팀은 톱 시드를 받아 3차 예선에 직행했다. 나머지 38개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1차 예선부터 치렀다. 1차 예선 승자 19개 팀 중 상위 11개 팀은 3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8개 팀은 2차 예선을 치러 3차 예선의 승자 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1][2]

오스트레일리아아시아 축구 연맹(AFC) 가입은 시드 배정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당초 AFC는 오스트레일리아를 1번 시드로 배정했으나, 이는 AFC의 기존 시드 배정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었다. 이후 시드 배정이 조정되어 2006년 월드컵 본선 성적에 따라 AFC 상위 5개 팀의 순위가 결정되었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시드가 배정되었다.

톱 시드
(1위~5위)
그룹 A
(6위~24위)
그룹 B
(25위~43위)


  • 괌과 부탄은 조 추첨 후 경기를 치르기 전에 기권했다.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 중 16강에 진출한 국가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유일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 1월 1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했지만, 2006년 월드컵 예선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참가했다.

AFC는 아시아의 월드컵 본선 출전권 4.5장을 유지하기 위해 국제 축구 연맹(FIFA)에 오스트레일리아의 AFC 가입 등을 호소했고, 결국 4.5장의 출전권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16]

3. 1. 시드 배정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의 시드 배정은 2006년 FIFA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던 5개 팀(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이란)은 톱 시드를 받아 3차 예선에 직행했다.[1]

나머지 38개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1차 예선부터 치렀다. 1차 예선 승자 19개 팀 중 상위 11개 팀은 3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8개 팀은 2차 예선을 치러 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2]

톱 시드포트 A포트 B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 중 16강에 진출한 국가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유일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 1월 1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했지만, 2006년 월드컵 예선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참가했다.

AFC는 아시아의 월드컵 본선 출전권 4.5장을 유지하기 위해 FIFA에 오스트레일리아의 AFC 가입 등을 호소했고, 결국 4.5장의 출전권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16]

4. 1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2007년 8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총 38개 팀이 참가하여 19개 그룹으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 예선에서 승리한 19개 팀 중 상위 11개 팀은 3차 예선으로 직행했고, 하위 8개 팀은 2차 예선으로 진출했다.[2]

1차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1. 주요 경기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차 예선은 2007년 8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38개 팀이 19개 그룹으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 예선 승자 19개 팀 중 상위 11개 팀은 3차 예선으로 직행하고, 하위 8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제1전 홈팀결과제2전 홈팀제1전제2전
파키스탄0 - 7 이라크0 - 70 - 0[23]
우즈베키스탄11 - 0-- 중화 타이베이9 - 02 - 0
태국13 - 2 마카오6 - 17 - 1
스리랑카0 - 6 카타르0 - 10 - 5
중국11 - 0 미얀마7 - 04 - 0[24]
부탄부전승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2 - 2
(승부차기 5-6)
요르단2 - 00 - 2
베트남0 - 6 아랍에미리트0 - 10 - 5
바레인4 - 1 말레이시아4 - 10 - 0
동티모르3 - 11 홍콩2 - 31 - 8
시리아5 - 1 아프가니스탄3 - 02 - 1[23]
예멘3 - 2 몰디브3 - 00 - 2
방글라데시1 - 6 타지키스탄1 - 10 - 5
몽골2 -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 41 - 5
오만4 - 0 네팔2 - 02 - 0
팔레스타인0 - 7 싱가포르0 - 40 - 3[25][26]
레바논6 - 3 인도4 - 12 - 2
캄보디아1 - 5 투르크메니스탄0 - 11 - 4
부전승 인도네시아--

5. 2차 예선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에서 진출한 19개 팀 중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8개 팀이 참가했다. 1차 예선과 마찬가지로 추첨은 2007년 8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AF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1]

1차 예선 승리 팀 중 랭킹 하위 8개 팀은 랭킹에 따라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였고, 각 조의 승리 팀이 3차 예선으로 진출하였다.

5. 1. 주요 경기 결과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 승리팀 중 FIFA 랭킹 하위 8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랭킹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각 그룹의 승리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1차전 홈 팀결과2차전 홈 팀1차전2차전
홍콩0 - 3 투르크메니스탄0 - 00 - 3
예멘1 - 2 태국1 - 10 - 1
싱가포르3 - 1 타지키스탄2 - 01 - 1
인도네시아1 - 11 시리아1 - 40 - 7



3차 예선 조 추첨은 2007년 11월 25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있었다. 3차 예선에서는 20개 팀을 4개 그룹으로 나누어 시드를 적용하였다. 톱 시드 발표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톱시드로 배정되었으며 이란은 3번 시드로 올라왔고, 그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일본의 시드가 각각 하나씩 내려갔다.

그룹 A그룹 B그룹 C그룹 D



3차 예선 A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31273+410
631256-110
style="text-align:left;"|621346-27
style="text-align:left;"|613234-16



 width="30"|width="30"|width="30"|width="30"|
style="text-align:right;"|3-01-00-1
style="text-align:right;"|1-32-00-0
style="text-align:right;"|1-00-11-1
style="text-align:right;"|0-00-11-2


6. 3차 예선

3차 예선은 1차 예선과 2차 예선을 거쳐 올라온 15개 팀과 3차 예선에 직행한 5개 팀,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최종 예선 진출을 다투는 단계였다. 20개 팀은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21] 조 추첨은 2007년 11월 2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진행되었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위2위비고
1조호주카타르호주와 카타르는 승점 10점으로 동률이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호주가 1위.
2조일본바레인일본은 4승 1무 1패(승점 13점)로 1위, 바레인은 3승 2무 1패(승점 11점)로 2위.
3조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각각 3승 3무(승점 12점)로 동률이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대한민국이 1위.
4조사우디아라비아우즈베키스탄사우디아라비아우즈베키스탄은 각각 5승 1패(승점 15점)로 동률이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사우디아라비아가 1위.
5조이란아랍에미리트이란은 3승 3무(승점 12점)로 1위, 아랍에미리트는 2승 2무 2패(승점 8점)로 2위.


6. 1. 조 편성

3차 예선은 3차 예선에 직행한 5개 팀과 1,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 총 20개 팀을 5개의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다.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2007년 11월 2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본선 조 추첨에서 20개 팀은 4팀씩 5개 조로 편성되었다. 본선 조 추첨 시드는 처음 두 라운드와 동일하게 적용되었으며, 5개의 시드 국가 (2006년 결선 진출국)는 2006년 결선 토너먼트 결과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9] 이로 인해 이란은 5위에서 3위로, 일본사우디아라비아는 공동 4위로 순위가 변경되었다.

사용된 4개의 시드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A포트 B포트 C포트 D



각 조의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두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한 팀은 4라운드에 진출했다.

6. 2. 주요 경기 결과 및 사건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경기 결과 및 사건들이 있었다.

  • '''이라크 축구 협회 징계 문제''': 2008년 5월 20일, 이라크 정부가 이라크 축구 협회를 해산하면서 FIFA는 이라크의 모든 국제 대회 참가를 중단시켰다.[10] 이 징계는 2008년 5월 29일에 잠정 해제되었다.[11]

  • '''카타르 선수 출전 자격 논란''': 카타르는 2008년 3월 26일 이라크와의 경기에서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 에머슨을 출전시켜 2-0으로 승리했지만, FIFA는 카타르의 잘못은 아니라고 판결했다.[12] 이라크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항소했지만 기각되었다.[13]


3차 예선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조''': 호주와 카타르가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뤘지만, 골득실에서 앞선 호주가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호주-3 - 0
3 - 1
1 - 0
0 - 1
0 - 1
0 - 0
10631273+4
카타르1 - 3
0 - 3
-2 - 0
1 - 0
0 - 0
1 - 0
10631256-1
이라크1 - 0
0 - 1
0 - 1
0 - 2
-1 - 1
2 - 1
7621346-2
중국0 - 0
1 - 0
0 - 1
0 - 0
1 - 2
1 - 1
-6613234-1


  • '''2조''': 일본이 4승 1무 1패(승점 13점)로 1위, 바레인이 3승 2무 1패(승점 11점)로 2위를 기록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 - 0
0 - 1
3 - 0
1 - 1
4 - 1
3 - 0
136411123+9
바레인1 - 0
0 - 1
-1 - 1
1 - 0
1 - 1
3 - 2
11632175+2
오만1 - 1
0 - 3
0 - 1
1 - 1
-2 - 1
1 - 0
8622257-2
태국0 - 3
1 - 4
2 - 3
1 - 1
0 - 1
1 - 2
-16015514-9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0 - 0
0 - 0
2 - 2
1 - 0
4 - 0
3 - 1
126330103+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 - 0
0 - 0
-2 - 0
1 - 0
1 - 0
0 - 0
12633040+4
요르단0 - 1
2 - 2
0 - 1
0 - 2
-2 - 0
2 - 0
76213660
투르크메니스탄1 - 3
0 - 4
0 - 0
0 - 1
0 - 2
0 - 2
-16015112-11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 아라비아-4 - 0
0 - 3
2 - 0
2 - 0
4 - 1
2 - 1
156501145+9
우즈베키스탄3 - 0
0 - 4
-1 - 0
7 - 3
3 - 0
1 - 0
156501157+8
싱가포르0 - 2
0 - 2
3 - 7
0 - 1
-2 - 0
2 - 1
66204713-6
레바논1 - 2
1 - 4
0 - 1
0 - 3
1 - 2
0 - 2
-06006314-11


  • '''5조''': 이란이 3승 3무(승점 12점)로 1위, 아랍에미리트가 2승 2무 2패(승점 8점)로 2위를 기록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란-0 - 0
1 - 0
0 - 0
2 - 0
2 - 0
2 - 2
12633072+5
아랍에미리트0 - 1
0 - 0
-1 - 3
1 - 1
2 - 0
3 - 2
86222770
시리아0 - 2
0 - 0
1 - 1
3 - 1
-1 - 0
2 - 4
8622278-1
쿠웨이트2 - 2
0 - 2
2 - 3
0 - 2
4 - 2
0 - 1
-46114812-4


7.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은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 1, 2위를 기록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했으며, 각 조 3위를 기록한 2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쳐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가렸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대한민국8440124+8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833275+212
사우디아라비아833288012
이란825187+111
아랍에미리트8017617-111



B조에서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조 1, 2위를 기록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조 3위를 기록하여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7. 1. 조 편성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에는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이 진출하여 5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14]

조 추첨 시드는 3차 예선 조 추첨 시드를 기본으로 했지만, 3차 예선에서 같은 시드(4번 시드)를 배정받았던 일본사우디아라비아는 추첨을 통해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14]

최종 예선 조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7. 2. 주요 경기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3차 예선과 최종 예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차 예선3차 예선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보기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예선에서 탈락한 팀


최종 예선최종 예선은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을 2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 2위를 기록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했고, 각 조 3위를 기록한 2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008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최종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3차 예선 조 추첨 시드를 기반으로 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일본은 무작위 추첨으로 분리되었다.[14]

rowspan="2"|시드 배정 순위조 추첨 결과
A조B조
포트 11. 호주 2. 대한민국호주대한민국
포트 23. 이란 4. 일본일본이란
포트 35. 사우디 아라비아 6. 바레인바레인사우디 아라비아
포트 47. 우즈베키스탄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아랍에미리트 10.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카타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랍에미리트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호주-2 - 1
0 - 0
2 - 0
1 - 0
4 - 0
0 - 0
2 - 0
1 - 0
20862012111
일본0 - 0
1 - 2
-1 - 0
3 - 2
1 - 1
3 - 0
1 - 1
1 - 0
1584311165
바레인0 - 1
0 - 2
2 - 3
0 - 1
-1 - 0
1 - 1
1 - 0
1 - 0
10831468-2
카타르0 - 0
0 - 4
0 - 3
1 - 1
1 - 1
0 - 1
-3 - 0
0 - 4
68134514-9
우즈베키스탄0 - 1
0 - 2
0 - 1
1 - 1
0 - 1
0 - 1
4 - 0
0 - 3
-48116510-5


B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 - 0
1 - 1
0 - 0
2 - 0
1 - 1
1 - 1
4 - 1
2 - 0
16844012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 1
0 - 1
-1 - 0
0- 0
0 - 0
1 - 2
2 - 0
2 - 1
128332752
사우디아라비아0 - 2
0 - 0
0 - 0
0 - 1
-1 - 1
2 - 1
3 - 2
2 - 1
128332880
이란1 - 1
1 - 1
2 - 1
0 - 0
1 - 2
1 - 1
-1 - 0
1 - 1
118251871
아랍에미리트0 - 2
1 - 4
1 - 2
0 - 2
1 - 2
2 - 3
1 - 1
0 - 1
-18017617-11


8. 아시아 플레이오프

최종 예선 각 조 3위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승리 팀은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21]

바레인사우디아라비아가 맞붙어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바레인이 AFC/O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8. 1. 경기 결과

최종 예선에서 각 조 3위를 기록한 2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바레인2-2 (a)사우디아라비아0-02-2



4라운드에서는 10개의 남은 팀들이 5팀씩 2개 조로 편성되었다.


  • 최종 순위 기준


4차 예선 양 그룹의 3위 팀끼리 AFC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승자가 오세아니아 예선 1위인 뉴질랜드와의 AFC/O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바레인이 AFC/OFC 플레이오프 진출을 결정했다.

9. 대륙간 플레이오프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의 AFC 플레이오프 승자는 2010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승자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여기서 승리한 팀이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9. 1. 경기 결과

아시아 지역에서 승리한 팀은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승자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승리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바레인0-1뉴질랜드0-00-1



각 조의 팀들은 서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번씩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은 2010년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본선에 진출했다. 3위 팀들은 플레이오프에서 만나 OFC 우승팀인 뉴질랜드와 본선 진출을 위한 별도의 플레이오프를 치를 팀을 결정했다.

AFC 플레이오프 승자인 아시아 5위 팀이 오세아니아 예선 1위 팀과 대결하여 승리한 팀이 월드컵 본선 출전권을 획득한다.

2009년 10월 10일, 바레인 국립 경기장(마나마)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바레인뉴질랜드가 0-0으로 비겼다.[1]

2009년 11월 14일, 웨스트팩 스타디움(웰링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뉴질랜드바레인을 1-0으로 이겼다.[2]

2경기 합계 1-0으로 뉴질랜드가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다.[3]

10. 본선 진출팀

2010년 FIFA 월드컵에 아시아 대표로 출전하는 4개 팀은 다음과 같다.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횟수
-- 오스트레일리아4라운드 A조 1위2009년 6월 6일2 (1974, 2006)
-- 대한민국4라운드 B조 1위2009년 6월 6일7 (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 일본4라운드 A조 2위2009년 6월 6일3 (1998, 2002, 200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라운드 B조 2위2009년 6월 17일1 (1966)



1 '''굵은 글씨'''는 해당 연도의 우승팀을 나타낸다. ''이탤릭체''는 해당 연도의 개최국을 나타낸다.

11. 득점 순위

순위선수국가득점
1사라윳 차이캄디 태국8
1막심 샤츠키흐 우즈베키스탄8
3아마드 아자브 쿠웨이트6
3이스마일 마타르 아랍에미리트6
5모함메드 가다르 레바논5
5세바스티안 소리아 카타르5
5박지성 대한민국5
5자야드 차보 시리아5
9팀 케이힐 오스트레일리아4
9브렛 에머턴 오스트레일리아4
9청시우와이 홍콩4
9자바드 네쿠남 이란4
9마디 카림 이라크4
9하산 압델 파타 요르단4
9홍영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9정철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9압도 오타이프 사우디아라비아4
9알렉산다르 주리치 싱가포르4
9박주영 대한민국4
9제하드 알후세인 시리아4
9라자 라페 시리아4
9누몬존 카키모프 타지키스탄4
9세르베르 제파로프 우즈베키스탄4
9조슈아 케네디 오스트레일리아4
9해리 큐얼 오스트레일리아4
9알라 후바일 바레인4
9살만 이사 바레인4
9마무드 압둘라만 바레인4
9찬시우키 홍콩4
9에마드 모함메드 이라크4
9나카무라 슌스케 일본4
9나카자와 유지 일본4
9엔도 야스히토 일본4
9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일본4
9박철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9김두현 대한민국4
9이근호 대한민국4
9사예드 알리 베치르 카타르4
9야세르 알카타니 사우디아라비아4
9레다 투카르 사우디아라비아4
9말렉 무아스 사우디아라비아4
9존 윌킨슨 싱가포르4
9모하메드 알제노 시리아4
9티라텝 위노타이 태국4
9닷사콘 통글라오 태국4
9이밀리우 다 실바 동티모르4
9모하메드 알셰히 아랍에미리트4
9티무르 카파제 우즈베키스탄4
9오딜 아흐메도프 우즈베키스탄4
9파호드 타지예프 우즈베키스탄4



2골을 기록한 선수와 1골을 기록한 선수, 그리고 자책골을 기록한 선수들의 목록은 너무 길어 생략한다.

12. 논란 및 비판

이번 대회의 아시아 3차 예선 및 최종 예선에서, 북한대한민국 경기는 4경기가 치러졌지만, 북한의 홈 2경기는 평양이 아닌 상하이에서 열렸다.[15]

북한에서는 북한과 대한민국의 경기가 18년 만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북한 측이 "대한민국의 국기와 국가 연주를 자국민 앞에서 하고 싶지 않다"며 평양에서의 대한민국 국기 게양 및 국가 연주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측이 "국제 경기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고 반발하며 FIFA에 중재를 요청했고, 이후 FIFA는 2008년 3월 7일, 경기 장소를 제3국으로 옮기면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과 국가 연주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경기를 중국 상하이에서 치르는 이례적인 조치를 결정해 남북 양측에 통보했다. 2008년 3월 26일에 열린 3차 예선 경기와 2008년 9월 10일 최종 예선의 직접 대결 모두 상하이에서 진행되었다.[15]

두 경기 모두 상하이에서 치러졌지만,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이 결정에 대해 "FIFA가 규정을 지키지 않은 북한을 처벌하지 않고, 개최지 변경을 인정한 것에 대해 좋지 않은 선례를 만들었다"는 등의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15]

남북 간의 스포츠 교류에 있어서, 대한민국 측은 북한의 국기와 국가의 국내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대한민국의 국기와 국가를 국내에서 공개한 사례는 현재까지 한 번도 없다고 한다.[15]

참조

[1] URL 2010 FIFA World Cup: AFC announces seedings, qualification process http://www.the-afc.c[...]
[2] URL Asian Zone Competition Format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No home play for Iraq in World Cup qualifiers https://int.soccerwa[...] Soccerway 2007-08-06
[4] 웹사이트 Bhutan out of 2010 race https://www.fifa.com[...] FIFA 2007-09-13
[5] 웹사이트 Indonesia goes straight through – Guam declines http://www.pssi-foot[...] Persatuan Sepakbola Seluruh Indonesia 2007-08-07
[6] 웹사이트 Myanmar-China switched to Malaysia https://www.fifa.com[...] FIFA 2007-10-18
[7] 뉴스 Fifa reject Palestinian appeal http://english.aljaz[...] Al Jazeera Sports 2007-10-31
[8] URL FIFA Reinstate Kuwait to Competition http://soccernet.esp[...]
[9] URL Preliminary Draw Information Final Zones Ranking and Pot Allocations https://web.archive.[...] FIFA
[10] 뉴스 FIFA suspends Iraq from international competition https://sports.yahoo[...] 2008-05-26
[11] 웹사이트 Suspension of Iraqi Football Association provisionally and conditionally lifted https://www.fifa.com[...] FIFA 2008-05-29
[12] 웹사이트 FIFA unable to shake off Qatar controversy http://soccernet.esp[...] ESPN SoccerNet 2008-09-22
[13] 웹사이트 Iraq loses last appeal to get back into World Cup https://www.espn.com[...] ESPN SoccerNet 2008-09-29
[14] 뉴스 FWCQ Stage 4 draw mechanics http://www.the-afc.c[...] The-AFC.com 2008-06-12
[15] URL Intercontinental play-off dates confirmed https://www.fifa.com[...]
[16] URL 岡ちゃんに新ノルマ“W杯16強” https://megalodon.jp[...]
[17] 간행물 Financial report presented & decisions taken on competition hosts & Brazil 2014 slots http://www.fifa.com/[...] FIFA 2011-03-03
[18] 문서 その他の地域でも、開催国枠以外は前回と同じであった。なお2010年大会では、アジアからは[[サッカー日本代表|日本]]と[[サッカー大韓民国代表|韓国]]の2チームが決勝トーナメントに進出している
[19] 웹사이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개최국으로 첫 1차 리그 패퇴, 지난 대회 준우승 프랑스도 https://www.nikkei.c[...] 2023-07-08
[20] 뉴스 축구=베스트 8에 진출한 가나、「아프리카를 자랑스러운 감정으로」 https://jp.reuters.c[...] 2023-07-08
[21] 문서 "なお、今予選より[[オセアニアサッカー連盟|OFC]]から[[アジアサッカー連盟|AFC]]に移籍した[[サッカーオーストラリア代表|オーストラリア]]については、「直近のワールドカップ以降の成績」が参照できないものの、AFCはオーストラリアが前回(2006年)のワールドカップでアジア各国より上位の成績に立ったことを考慮し、第1シードに配置することとされた。この扱いは[[AFCアジアカップ2007 (予選)|AFCアジアカップ2007の予選]]や[[北京オリンピックサッカーアジア予選|北京オリンピックのアジア予選]]とは異なるものとなった(これらではオーストラリアは、シード順は最下位と扱われていた)。また第2シード〜第5シード(以上は前回のワールドカップ出場国である)についても、前回のワールドカップの成績のみでシード順を決定することになった。"
[22] URL FIFA.com - Previous FIFA World Cups™ http://www.fifa.com/[...]
[23] URL No home play for Iraq in World Cup qualifiers http://www.soccerway[...]
[24] URL Myanmar-China switched to Malaysia http://fifa.com/worl[...]
[25] URL Road to South Africa: Singapore through to second round after Palestine no-show http://www.fas.org.s[...]
[26] URL Lebanon advance to Round 3 http://www.fifa.com/[...]
[27] URL Fifa reject Palestinian appeal http://english.alja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